top of page

​경쟁작 

Nominated work

전보경 Bo-kyung JEON (Korea)
신미정 Mi-jung SHIN 
(Korea)
Matt Coco (France)
오주영 (Korea)
염소진 So-jin YEOM (Korea)
권은비 Eun-bi KOWN (Korea)

전보경(bo-kyung JEON)

현자의 돌: 공기 Lapis Philosophorum:Air_8min34sec_2017

전보경(bo-kyung JEON)

현자의 돌: 공기 Lapis Philosophorum:Air_8min34sec_2017

나는 “노동=사회적 필요 노동시간=상품의 가치”라는 도식에 질문을 던지며, 노동이란 것이 단순히 반복적인 행위가 아니라, 시간과 인고를 겪는 과정이며 노동하는 사람의 삶과 일치되는 지점을 찾고자 한다. 나는 자신의 삶과 일의 과정에서 예술적 감수성을 찾는 과정을 통해 자기해방의 단초를 찾고 한다. 예술과 노동은 어떤 차이점을 갖고, 무엇은 유용하고 무용한 것인가에 대해 질문해 보고자 한다. 

이 작업은 요코하마가 개항된 후 최초의 서구식 이용원을 5대째 이어고 있는 시바가키씨의 일에 관련된 제스쳐와 그의 삶에 대해 보여준다. 

 

Throwing a questions to a diagram of “labor=labor time required by society= values of goods” she tries to find the point that brings “the lives of laborers” to match “their labors”, regarding “labor” not as simply repeated behaviors, but as the precious process to undergo time and endurance. She is looking for the motive for self-liberation via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artistic sensitivity in their own cycle between their private lives and their labors. She would like to ask what is difference between art and labor and what is useful and what is useless.

This work shows the Mr. Shibasaki’s life and gestures related to his work, who has been running the first western-style barbershop with 5 generation after Yokohama port’s opening.

전보경은 역사와 수집된 기억의 관계에 관심을 갖고,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격변을 겪은 사람들의 삶의 변화를 “다시-쓰기”의 방식으로 작업을 하고 있다.그녀는 사람들을 자신의 무지한 스승으로 초대하여, 그들의 삶에 대해 배운다.그 후 이것을 기존의 문헌, 뉴스와 비교 후 새로운 개인-역사를 구성한다. 이것은 들리지 않고, 보이지 않고, 말할 수 없는 이야기를 새로운 역사로 편입시키는 한 방법이다.

With a huge interest in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and collective memories, Bo-kyung JEON has been produced works describing life change of people who experienced social, political, or cultural upheavals, in the form of “re-writing”. She tries to learn their lives and stories, inviting them as her naive masters. And then she forms a new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and history, comparing what she learned with existing documents and articles. This is a kind of method to incorporate this story that can’t be heard, seen, and spoken into new history.

나는 “노동=사회적 필요 노동시간=상품의 가치”라는 도식에 질문을 던지며, 노동이란 것이 단순히 반복적인 행위가 아니라, 시간과 인고를 겪는 과정이며 노동하는 사람의 삶과 일치되는 지점을 찾고자 한다. 나는 자신의 삶과 일의 과정에서 예술적 감수성을 찾는 과정을 통해 자기해방의 단초를 찾고 한다. 예술과 노동은 어떤 차이점을 갖고, 무엇은 유용하고 무용한 것인가에 대해 질문해 보고자 한다. 

이 작업은 요코하마가 개항된 후 최초의 서구식 이용원을 5대째 이어고 있는 시바가키씨의 일에 관련된 제스쳐와 그의 삶에 대해 보여준다. 

 

Throwing a questions to a diagram of “labor=labor time required by society= values of goods” she tries to find the point that brings “the lives of laborers” to match “their labors”, regarding “labor” not as simply repeated behaviors, but as the precious process to undergo time and endurance. She is looking for the motive for self-liberation via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artistic sensitivity in their own cycle between their private lives and their labors. She would like to ask what is difference between art and labor and what is useful and what is useless.

This work shows the Mr. Shibasaki’s life and gestures related to his work, who has been running the first western-style barbershop with 5 generation after Yokohama port’s opening.

전보경은 역사와 수집된 기억의 관계에 관심을 갖고,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격변을 겪은 사람들의 삶의 변화를 “다시-쓰기”의 방식으로 작업을 하고 있다.그녀는 사람들을 자신의 무지한 스승으로 초대하여, 그들의 삶에 대해 배운다.그 후 이것을 기존의 문헌, 뉴스와 비교 후 새로운 개인-역사를 구성한다. 이것은 들리지 않고, 보이지 않고, 말할 수 없는 이야기를 새로운 역사로 편입시키는 한 방법이다.

With a huge interest in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and collective memories, Bo-kyung JEON has been produced works describing life change of people who experienced social, political, or cultural upheavals, in the form of “re-writing”. She tries to learn their lives and stories, inviting them as her naive masters. And then she forms a new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and history, comparing what she learned with existing documents and articles. This is a kind of method to incorporate this story that can’t be heard, seen, and spoken into new history.

전보경_현자의 돌 공기_8분34초_2017_02.jpg
전보경_현자의 돌 공기_8분34초_2017_01.jpg

신미정(Mi-jung SHIN)

식민지/추억 Colony/Memory_12min7sec_2015

일제 강점기에 이리(현 익산)에서 태어나 자란 ‘타무라 요시코’라는 일본 여성은 해방 직후 일본으로 떠나면서 자신의 고향을 기억하고 추억하기 위해 마을 구석구석을 지도로 만들어 보관해왔다.

<식민지/추억>은 그녀가 추억하는 익산에서의 기억을 지도를 토대로 추적하고 기록한 영상이다. 그녀가 회상하는 한국에 대한, 이리에 대한 기억을 되살려보면 묘한 이중적 구조 속에서 나인 동시에 타자가 된다. 국가라는 사회조직을 대입하면 그녀는 일제강점기 우리를 지배했던 지배자인 동시에 착취자로서의 이미지가 씌워진다.

우리는 그녀의 기억을 ‘지배자의 추억’으로 바라볼 것인지, 인간으로서 ‘고향을 잃은 한 여성의 기억’으로 볼 것인지, 국가라는 커다란 권력 앞에서 인간이란 개개인의 존재가 어 떤 의미를 지니는 것일까 생각을 해보지 않을 수 없다.

 

Tamura Yoshiko, a Japanese who was born and raised in Iri (current name - Iksan) made the map of her town to keep her memories of her life in Iri, traveling every corner of the town when she left for Japan right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and has restored it for so long. <Colony/Memory> is a video work which records the image of Iksan in her memories, tracing back to her memories in Iksan based on the map made by her. Bringing back her memories about Korea, as well as Iksan, it allows us to become “Others”, remaining the existence as “Ourselves” at the same time. In terms of a social organization, A nation, she seems overlapped into image of a ruler or an exploiter who dominated our country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 should not neglect the meaning of each individual existence in the very front of a huge power of a “nation”, with consideration of how we regard her memories, either as “memories of a ruler” or “memories of a lady who lost her home town.”

신미정은 지역사회 내 타지인을 ‘타자’로 보는 시선과 그 시선을 받아온 당사자의 기억을 당사자의 시선으로 풀어내는 작업을 계속해왔다.
일제강점기 익산에서 태어나 살았던 일본인의 강한 향 수를 풀어낸 <식민지/추억>, 속초의 이북 실향민의 삶 을 담아낸 <자신의 경로>가 해방과 전쟁이라는 외부 상황에 의해 피동적으로 타지인이 되어야만 했던 경우 였다면, <신도(信道)>는 자신의 신념을 따라 스스로 타 지인의 삶을 선택해 대전에 정착한 수운교도들의 삶을 담아냈다.

Mi-jung SHIN has been created works to describe the viewpoint that regards strangers in the local community as “Others”, as well as memories of those who have been seen form that viewpoint. Both <Colony/Memory> which is about strong nostalgia of a Japanese who was borin in Iksan, South Korea,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in Korea, and <Path of my life> showing the life of displaced North Korean in Sokcho, describe the case that ones had no choice but to become “Others” due to external conditions such as liberation and war. In the mean time, <The way of Faith> shows the lives of believers of Suwon-Gyo who by themselves have chosen to live as “Others” in accordance with their own conviction.

2.jpg
1.jpg

Matt Coco

Somewhere before the dance 춤 추기 전 그 어딘가에서_18min49sec_2016

<춤추기 전 그 어딘가에서>는 우선 제작 과정 일부를 보여주고, 그 이후 댄서의 모습을 보여주는 영상이다. 작가는 2016년 프랑스 리옹 Crea/-tive 레지던시에서 활동할 당시 댄서에 의해 작품이 해석되는 과정에 대한 고찰을 주제로 해당 영상을 제작했다. 또한 이 작품은 작품 앞에서, 나아가 세계 앞에서, 인식과 언어 그리고 의미의 충 돌에 대한 고찰의 시도로 해석될 수 있다.

 

The place before the dance, is a video forming part of a process first of all and then with a dancer. I made this film during a crea- tive residency in Lyon in France in 2016 around the question of the interpretation of a personal work by a dancer. It is also a question of perception, language, colision of meaning in front of a work first and in front of the world too.

image_somewhere before the danse 4 .jpg
image_somewhere before the danse 5 .jpg

오주영(Joo-young OH)

모반: 예술작품을 감상하는 인공지능 BirthMark : Artificial “Human-mind” Calculator_12min25sec_2018

<BirthMark>는 작품을 감상하는 작품이다. 작품에서는 인 간 마음의 기본적이고 환원 불가능한 인지 및 지각 작용이 있다는 가정하에, ACT-R 인지 모델을 활용하여 관객의 인 지를 모델링 한다. 작업은 기본적인 관객의 인지 지각 과정 상태를: 최초의 감상(Camouflage), 작가의 의도(Solution), 통찰(Insight) 세 가지로 정의한다. 이를 통해 복잡한 상징체계이기도 한 예술작품을 정보 이론적 관점으로 새롭게 이해함으로써, 작품의 의미와 인간 정신의 주관적 감상의 고유성과 객관성에 대한 질문을 하고자 한다.

 

<Birthmark> is an artwork that appreciates artwork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in terms of artwork, there is an basic cognitive-perpetual function impossible to be returned in human mind, it models the cognition of audience utilizing ACT-R cognitive model. It defines the basic cognitive- perpetual process as 3 steps: the first appreciation(Camouflage), the intention of artist(Solution), and the insight. Through this process, it draw a question about the identity on the subjective appreciation by each audience and objectivity on the meaning of artworks.

현재 카이스트 IMLab(Interactive Media Lab) 박사과정 중에 있으며 ACT-R을 활용한 인간인지 모델에 대해 연 구 중. 최근 작품으로는 인간이 작품을 감상하는 메커니 즘을 구현한 인지모델인 BirthMark로 (국립아시아문화 전당, 7월 전시). 인간의 본질은 어디까지 추상적 시스템 으로 구현가능하며, 본다는 행위가 가져오는 “이미지”의 주관성은 어디까지 개인의 영역인지에 대한 질문을 하 고자 함.

Currently under the Ph.D. course at IMLab

(Interactive Media Lab), KAIST, she is studying the cognitive model of human-being utilizing ACT-R. Her latest work, <BirthMark>, a cognitive model to implement the mechanism that human-being appreciate the artworks, was exhibited at Asia Culture Center in last July. With this work she tries to cast questions regarding how much the essence of human-being can be implemented as an abstract system and how much the subjectivity of “images” caused by the behavior of “seeing” can be covered under the individual sphere.

BirthMark04.png
BirthMark03.png

염소진(So-jin YEOM)

Train Rt4_9min4sec_2018

싱글채널 비디오 <Train Rt4>는 삶과 죽음의 경계를 기차역을 배경 삼아 그곳에서 한 인간의 삶에서 경험할 수 있는 만남과 헤어짐을 흑백필름처럼 보여준다. 친구를 만났던 기억, 그리고 그 친구가 갑작스럽게 죽음에 이르게 되었던 과정과 그 느낌을 일기처럼 담담히 내려쓴다. 한동안 비통에 잠기고, 원망과 분노를 감추지 못했던 그녀는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선택을 해야 만 했던 상황에 대해 깊이 상념 한다. 영상은 롱테이크 샷으로 길고 느리게 굴절된 형태로 흘러가고 목소리가 일기를 들려준다.

 

The single-channel video <Train Rt4> depicts the border between life and death as a black-and-white film of encounter and departure that can be experienced in a human life in the background of a train station. She had written down like a diary of the memories she had seen with her friend and the process that led to the sudden death of the friend. She was deeply troubled for a while, unable to hide her grudge and resentment, and she deeply thought about the situation in which her friend had to make extreme choices of suicide. The video flows in a long, slow refracted form with a long take shot, and the voice tells the diary.

염소진은 미술 작가로 디지털 사회 안에서 살아가는 인간에 대한 궁금증이 있다. 작가 개인을 둘러싼 크고 작은 이야기를 영상으로 수집하고 내러티브로 발전시킨다. 서울 뿐 아니라 뉴욕, 일본, 대 만 등지에서 전시를 개최했고 최근에 삶과 죽음의 영역에 관심갖 고 작업을 영상 언어로 연결하고 있다.

So-jin YEOM is an artist who has an considerable curiosity on human being in the digital society. She collects big and small stories around her in the form of video, and then develops them into narratives. She has held exhibitions not only in Seoul, South Korea but in many countries such as US(New York), Japan, and Taiwan. Recently she has become interested in the sphere of life and death, expressing it in visual language.

Train R4t_ image1_300dpi.jpg
train Rt4_image2_300dpi.jpg

권은비(Eun-bi KOWN)

유령을 기다리며 Waiting for Specters_32min_2017

‘권은비’는 어느 날 갑자기 ‘베를린에서는 북한 사람을 만날 수 있다’는 소문을 듣고 베를린으로 떠난다. 그녀에게는 꿈이 있기 때문이다. 정치적 이념과는 상관없이 평화롭게 북한 사람과 커피 한잔하는 것. 
그러나 국가보안법으로 인해 오직 한국 국적의 사람들은 전 세계 어느 곳이든 북한 사람을 의도적으로 만나서는 안된다. 과연 그녀는 꿈을 이룰 수 있을까?

One day, she suddenly decided to leave for Berlin, upon hearing the rumor that in Berlin, it’s possible to meet people from North Korea. She has dreamed of having coffee break with people form North Korea in peaceful mood without any political ideology.
However, due to National Security Law, it’s strongly prohibited for people from South Korea to intentionally meet people from North Korea anywhere in the world. Can she indeed make her dream come true?

서울 출생. 현재베를린에서 활동하고 있다. 예술의 사회적 역할이라는 화두로 자본, 정치,사회,국가 등에 대한 다양한 문제들에 대해 관심을 가져왔으며 대다수의 예술프로젝트를 지역주민 또는 관객들의 참여와 협업으로 만들어왔다.

Born in Seoul. Eun-bi KOWN currently lives and works in Berlin. Focusing on the social role of art, she has been interested in various issues on capital, politics, society, and nation. The majority of her projects have been created, collaborating with local people or audience by attracting their participation in its work.

2018 Warten auf Gespenster.EUNBI KWON (3
2018 Warten auf Gespenster.EUNBI KWON (4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