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국제경쟁 1
International Competition 1

 

COMMON-PEAR-3.jpg


그레고르 보지치
Gregor Božič

 

<흔한 배>, 2025, 단채널 비디오, 컬러, 스테레오 사운드, 15분. 작가 제공.

 

 

리뷰

<흔한 배>는 기후 재난 이후의 미래에서 과거 농부들의 아카이브 영상을 분석하는 과학자들의 시선을 따라 인간과 땅의 관계를 묻는다. 공상과학적 설정 속에서 섞인 픽션과 다큐멘터리는 농부들의 목소리를 사라져가는 지식과 삶을 전하는 따뜻한 증언으로 되살린다. 자연과의 교감이 희미해진 세계, 미래의 스크린 속 과거를 마주하는 영화적 경험은 잃어버린 감각을 되찾는 여정이 된다. (조율)

COMMON-PEAR-2.jpg


흔한 배
Common Pear
Navadna hruška

 

Common Pear, 2025, Single-channel video, color, stereo sound, 15 min. Courtesy of the artist.

 

Review

Common Pear follows a group of scientists in a post–climate disaster future as they study archival footage of farmers from the past, questio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 land. Within its sci-fi framework, the blending of fiction and documentary revives the farmers’ voices as warm testimonies that carry vanishing knowledge and ways of life. In a world where connection with nature has faded, the cinematic encounter with the past on the screen of the future becomes a journey of recovering lost senses. (Cho Yul)

국제경쟁 2
International Competition 2

 

draft0822.mp4.00_02_03_03.Still005.png
draft0822.mp4.00_02_34_01.Still004.png


해리슨 홀×리이판×맷 스피스바
Harrison Hall×Li Yifan×Mat Spisbah

 


LARP 하지 못하면, 눈물 흘리리라
If You Can’t Larp, You'll Cry

 

<LARP 하지 못하면, 눈물 흘리리라>, 2024, 단채널 비디오, 컬러, 스테레오 사운드, 5분 37초. 작가 제공.

 

 

리뷰

<LARP 하지 못하면, 눈물 흘리리라>는 디지털 세계가 물질세계를 능가하는 현실 속에서, 인간의 존재론적 조건을 '라이브 액션 롤플레잉 게임(Live Action Role-Playing Game, LARP)'에 비유한다. 집단 군무를 펼치는 기묘한 형상들은 끝내 거대한 덩어리의 일부가 되고, 해킹 집단과 컴퓨터 바이러스의 이름이 마치 주술처럼 호명된다. (강주영)
 

If You Can’t Larp, You'll Cry, 2024, Single-channel video, color, stereo sound, 5 min. 37 sec. Courtesy of the artists.

 

Review

If You Can’t Larp, You’ll Cry, likens the ontological condition of humans to Live Action Role-Playing (LARP) games in a reality where the digital world outweighs the material world. Strange figures performing collective choreography ultimately merge into a massive whole, and the names of hacking groups and computer viruses are called out almost like incantations. (Kang Jooyoung)

국제경쟁 3
International Competition 3

 

SAM WILLIAMS_DITEATB Chapter 1 Still 5.jpg
SAM WILLIAMS_DITEATB Chapter 2 Still 1.jpg


샘 윌리엄스
Sam Williams

 


눈과 뱃속 깊은 곳에서
Deep in The Eye and The Belly

 

<눈과 뱃속 깊은 곳에서>, 2023, 단채널 비디오, 컬러,

스테레오 사운드, 92분. 작가 제공.

 

 

리뷰

<눈과 뱃속 깊은 곳에서>는 1865년 스웨덴 예테보리 연안에 좌초된 고래의 박제와 전시에서 출발해, 체계와 문명 뒤에 감춰진 타자에 대한 폭력적 욕망을 드러낸다. 동시에 바다로 돌아간 존재들이 고래 안에서 거처를 찾는 미래를 상상하며, 고래의 몸은 단순한 표본이 아닌 우리가 의탁해야 할 세계로 변모한다. 이곳에서 존재들의 경계는 녹아내리고, 서로 뒤얽혀 끝없이 흘러간다. (조율)

Deep in The Eye and The Belly, 2023,

Single-channel video, color, stereo sound, 92 min. Courtesy of the artist.

 

Review

Deep in The Eye and The Belly begins with the story of a whale that washed up near Gothenburg, Sweden, in 1865, whose taxidermy and display reveal the violent impulses directed at the Other lurking beneath the surface of systems and civilization. At the same time, the work imagines a future in which those who return to the sea find refuge within whales, transforming their bodies from mere specimens into worlds we must depend on. Here, the boundaries between beings dissolve, entwining and flowing without end. (Cho Yul)

국제경쟁 4
International Competition 4

 

Screenshot 2568-01-31 at 15.50.26.png


시라신 팡쁘라서트꾼
Sirasin Pangprasertkun
สิรศิลป์ ปังประเสริฐกุล

 


오비터
ORBITOR

 

<오비터>, 2024, 2채널 비디오, 컬러, 스테레오 사운드,

28분. 작가 제공.

ORBITOR, 2024, 2 channel video, color, stereo sound, 28 min. Courtesy of the artist.

 

리뷰

<오비터>는 1966년 루나 오비터 탐사와 같은 해를 살아낸 작가 조부모의 회상을 중심으로 개인적 서사에 냉전기 지정학적 긴장을 교묘히 엮어낸다. 작품 속 무선 라디오의 잡음과 간섭은 단순한 소음이 아닌 냉전 당시 ‘제3세계’ 국가들에 대한 감시와 개입, 분열된 주권이 남긴 지울 수 없는 흔적의 속삭임처럼 다가온다. 흩어진 기억과 거대한 권력이 교차하며 남긴 궤적 속에서 우리는 무엇을 붙잡아 기억할 것인가.

(조율)

 

Review

ORBITOR intertwines the personal recollections of the artist’s grandparents—who lived through the year of the Luna Orbiter mission in 1966, with the geopolitical tensions of the Cold War. The static and interference of the radios in the work are more than mere noise; they echo like whispers of surveillance, intervention in “Third World” countries, and the indelible marks left by fractured sovereignty. Amid the trajectories left where scattered memories and immense power intersect, what is it that we choose to hold onto and remember? (Cho Yul)

국제경쟁 5
International Competition 5

 

TMSttS_still_14.png


테클라 아슬라니슈빌리
Tekla Aslanishvili

 


산이 바다에게 말하다
The Mountain Speaks to the Sea

 

<산이 바다에게 말하다>, 2024, 2채널 비디오, 컬러, 흑백, 스테레오 사운드, 59분. 작가 제공.

The Mountain Speaks to the Sea, 2024, 2 channel video, color, black & white, stereo sound, 59 min. Courtesy of the artist.

 

리뷰

<산이 바다에게 말하다>는 조지아의 에너지 인프라에 얽힌 과거와 현재 속에서 변형되는 자연과 삶을 조명한다. 두 개의 화면은 과거와 현재의 풍경을 교차시키며, 공적 아카이브와 개인의 기록을 병치한다. 작품 속 목소리와 인터뷰는 에너지 발전을 둘러싼 제도적 권력, 지역 사회의 목소리, 자본과 노동의 현실이 중첩되는 지점을 드러내며, 삶과 기억, 그리고 저항과 연대의 서사가 이어진다. (강주영)
 

 

Review

The Mountain Speaks to the Sea explores the transformations of nature and life entangled in Georgia’s energy infrastructure, past and present. Two screens intersect landscapes of the past and present, juxtaposing public archives with personal records. Voices and interviews in the work reveal where institutional power, local communities’ perspectives, and the realities of capital and labor related to energy development overlap, unfolding narratives of life, memory, resistance, and solidarity. (Kang Jooyoung)


부산국제비디오아트페스티발
Busan International Video Art Festival

 
  • Instagram
  • Facebook

부산 수영구 수미로50번가길 3

3, Sumi-ro 50beon-ga-gil, Suyeong-gu, Busan

문의 Contact

videoartbusan@gmail.com

© Busan International Video Art Festival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