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청작
Invitational work
김나영(Na-young KIM) 범준(Beom-jun) 이재욱(Jae-wook LEE)
강민기(Mingi-KANG) 김범(Beom Kim) 송기철(Kicheol Song)
Grzegorz Stefańński Anika Schwarzlose 강태훈(Taehoon Kang)
반복과 실패 속에서 남겨진 것들
/ 조은비(영상이론가, 제 13회 부산국제비디오아트페스티발 협력 큐레이터)
영상작품을 본다는 것은 목격하는 것이기도 하며 그것은 보이는 것과 들리는 것 사이의 간극 속에서 자유롭게 방황해 보겠다는 결심이기도 하다. 하지만 언제나 우리가 영상 작품을 보면서 마주하게 되는 곤란함은 자유로운 방황이 아닌, 방황 이후의 시간들이다. 이번 제13회 부산국제비디오아트페스티발(BIVAF)에서 초청한 작품들은 삶 속에서 발견되는 애매한 지점들을 외면하지 않고 주어진 순간을 있는 그대로 포착해서 보여주고 있는 ‘몸짓(gesture)’에 관한 작품들이다.
작가들의 작품에서 발견되는 공통점은 편견과 선입견, 그리고 우리 앞에 주어진 것들을 무너뜨리려고 노력하는 몸짓 속에서 드러나고 있다. 영상 속 인물들은 계속해서 어딘가를 뛰어가고, 또 무언가를 넘어뜨리려고 한다. 그러한 행위 속에서 산출된 ‘몸짓’의 반복을 통해서 관람객은 작가 고유의 섬세한 감정과 견고한 사유를 마주하게 된다. 움직이는 이미지 속에서 무너지면서 동시에 생성되는 다양한 이야기들이 단채널의 영상 작업으로 우리 앞에 다가오게 되는 것이다.
그들의 영상 작업 속에서 반복적으로 드러나는 몸짓은 사실 특별하지도, 비범해 보이지도 않지만, 오히려 그들의 몸짓은 단순하고 간결하기 때문에 일상의 동작처럼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동시에 그들의 몸짓은 끊임없는 반복을 수반하고 있기에, 어딘가 다소 집요해 보일 때도 있다. 인물들이 수행하고 있는 일상적인 반복된 몸짓을 통해서 비일상의 지점이 자연스레 드러나게 된다.
인체를 이용한 반복과 그러한 반복된 행위의 실패를 통해서 작가는 이미 우리 앞에 주어진, 보편성의 세계를 거부하고 있다. 반복된 몸짓으로 야기된 실패들은 역설적이게도 사라진 정치의 장소들을 다시금 새롭게 생성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의 작업은 언어로는 쓰이지 않았던 것들을 다시 기록하는 것이며, 그들의 몸짓은 결코 언어로 포획될 수 없었던 말하기의 역량을 가감 없이 보여주는 작품이라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Things left in the repetitions and failures
/ Eunbee Jo(Image-Theory Specialist, The 13th Busan International Video Art Festival)
Watching video works is witnessing something as well as making decision to freely wander at the gap between what is seen and what is heard. However, the embarrassment that we are facing whenever we watch the video works is not free wandering but the time after the wandering. The works invited at the 13th Busan International Video Art Festival this year is about ‘gesture’ which shows given moments by frankly capturing some ambiguous points found in our lives, not ignoring them.
Common points found at the works by Artists can be seen at the gesture trying to destroy what is given in front of us as well as prejudice and stereotypes. Characters in the video are ceaselessly running to somewhere, trying to fall something down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repetition of ‘gesture’ driven from those behaviors, audience gets to face the artist’s own delicate sensitivity and solid consideration. That is, in the form of a single channel video work, various stories which collapses while simultaneously being created again in the moving images, gets to spread out in front of us.
In fact, although the gestures repeatedly found at their video works might not be viewed as special or unusual, since their gestures are quite simple and concise, they can be seen as gestures frequently happened at our daily lives. However, the gestures entail the constant repetition at the same time, which makes them somewhat tenacious. Through those repeated ordinary gestures by the characters, the abnormal points become naturally exposed.
Via repetition caused by our bodies and the failures of those repeated behaviors, the artist expresses his/her intention to refuse the world of universality already given to us. Paradoxically, the failures caused by repeated behaviors are re-creating the political places again, which disappeared before. Therefore, their works can be regarded as works of ‘re-writing’ what has never written in language, as well as of showing off the capabilities of ‘describing’ with gesture, which couldn’t be captured by language.
김나영(Na-young KIM)
running_photos_6min19sec_2016
장 뤽 고다르의 <비브르 사 비>의 한 장면에서 출발해, 여러 영화 속 인물의 달리는 장면을 연결했다.
머이브리지 이미지, 영상의 확대, 역재생, 반복 등을 활용했다.
Starting from a scene <Vivre Sa Vie> (Jean-Luc Godard,1962), it shows connected images where characters from several films are running. Also it utilizes the images by Muybridge, image magnification, rewind and repetition.
부산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세 편의 단편(<기우>, <시험 후>, <러닝 포토스>)을 작업했다. <러닝 포토스>(2015)는 부산독립영화제에서 심사위원특별상을 수상했으며, 인디포럼, 서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에서 상영되었다.
Currently works in Busan. She has directed 3 short films, <Here Comes the Rain>, <In the Dust of Time> and <Running Photos>. <Running Photos>(2015) was awarded as Special Jury Prize at Busan Independent Film Festival and was screened at IndieForum and EXiS(Seoul International Experimental Film Festival).
(김)범준은 퍼포먼스와 커뮤니티 기반 활동을 영상/설치 등으로 갈무리하며 작업한다. 작가 자신이나 주변 사람들의 사적인 일상에 사건을 일으키거나 개입하면서 일상과 예술의 경계를 가늠하곤 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제주 4.3의 가장 핵심적인 이념 갈등이었던 ‘빨갱이’를 주제로 삼는다. 마치 아이들의 종이 넘어뜨리기 게임처럼 수행되는 권력과 폭력의 단순하고 비극적인 메커니즘을 퍼포먼스-영상으로 보여준다.
_제주 4.3 70주년 기념 네트워크 프로젝트 <잠들지 않는 남도>, (이민지, d/p큐레이터)
Beon-joon (KIM) has been doing his works, showing off performances and community-based activities with video or installation works. Provoking or intervening accidents in his own life or ones of people around him, he tries to figure out the boundary between daily life and art. In this Exhibition, ‘the commie’, which was the most noticeable conflicts in the incident of Jeju uprising, is mainly dealt with. Simple but tragic mechanism of the power and the violence, which have been carried out like a flying paper game of children, is shown through performance and video.
- <Nam-do, which never sleeps>, Network project to commemorate the 70th anniversary of Jeju uprising. (Min-jiLEE,d/pcurator)
스스로의 몸을 도구 삼아 한국의 가족시스템과 사회시스템을 수행적 으로 드러내왔다. 작업을 할 때마다 새로운 롤(Role)로 변신하는데 장남으로, 군인으로, 경찰로, 혹은 도둑으로 변신하면서 각 인물에게 기대하는 심정들을 배반한다.
He has expressed Korean family system and social system as a performance, using his own body as a tool. Every time he makes his work, his body is changed into a new role, such as the eldest son, a soldier, a policeman, or a thief, being contrary to the feelings expected from each role.
범준(Beom-jun)
Red-Hunt_4min5sec_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