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정작
Prize-winner
김한량 Hanryang Kim (Korea)
조세진 Sejin Jo (Korea)
김한량
Kim Hanryang
Korea
STIGMA EFFECT_6min2sec_2015
김한량의 작업은 담론을 형성하기 위함에 있다. 조각들로 형성된 서술의 안에는 계속되는 현실의 문제가 들어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문제는 사회 안 으로 다시금 들어가게 되는 것이 아닌 바깥으로 나가려는 전복의 가능성을, 일맥상통하지 않는 질문자들의 의문과 불안감으로 생성되는 조각들의 서술 을 보는 이와 말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미지화된 작가의 말로써 상황에 대 한 회귀적인 재현이 아닌 상징적으로 연출된 이미지의 변모를 이끌어낸다.
재정립을 통해 형성되는 서술의 가치를 바라봄으로써 작가의 자의적인 질문보단 이미 자의적, 신화적인 작업들에 대한 재질문으로 작성된다. 작업 에서 표출하고자 하는 질문은 이미 당도한 것들을 역류하기 위한 반추이며 자연스레 섭취해온 혹은 내장 속으로 숨겨놓은 것들을 바깥의 시선으로 다 시금 보게 되었을 때 그것을 다시 섭취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 여러 다수의 배를 가격한다. 실험적, 컨템포러리를 제일 앞서 문자로 내세우는 작업들의 실상이 특정한 문자로 씌이지 않고 그 자체의 언어만으로 존재할 때 그것 은 그 자체로 놓일 수 있을까. 그 문자를 배신하는 언어가 되진 않을까. 부 패되가는 현상을 시야의 뒤편에 두며 앞을 걸어가는 표면적인 문자 혹 부패의 무지는 무엇을 수태할 수 있을까.
HAN-RYANG KIM’s artwork is for creating a discussion. Inside a description formed like little pieces lays the continuous issues of our reality. However these issues want to talk with the audience about going outside hoping to overturn and not about going inside to the society again, and about the pieces’ depiction that has formed through questioners’ questions with no connections with each other and through anxiety. And with the imaged artist’s voice, it draws a transfiguration of the directed symbolic image, not a recursive revival of the situation.
Looking at the value of the narrative forming through reestablishment, it’s already written not in artist’s arbitrary questions but in re-questioning about the arbitrary, mythical works. The question to be expressed in the artwork is a ruminant to reflux the things already reached, and with the outside’s view, looking again at the things that are naturally ingested or hidden inside the internal organs, it strikes a lot of stomachs about whether one can ingest it again. If the fact of the artwork, putting experimental and contemporary in the very front in written form, is written not in certain letters but in its own, can it be stood on its own? Wouldn’t it be a language betraying its letters? What can the outer word or the ignorance of corruption, walking with the corrupting condition behind its sight conceive?
생존적 생, 버텨야한다는 압박, 회피할 수 없는 제도와 권력, 죽음과 맞물리는 이에 대한 방관적 태도. 죽음과 맞물린 생 안에서 작업은 그 작업에 대해 긴밀한 통각을 느낀 사람에게는 살아가기 위한 방도이다. 그렇지만 사회 혹 개인에 대한 고통은 작가에게 끊임없이 발생하고 뒤틀린다. 두 손을 속박하는 자본, 감내와 인내의 문장들이 폭력으로 작동하는 상황에서 예술가는 온몸으로 고통을 수반해야한다. 그러나 이 작품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것은 패배주의나 무기력함을 피력하려는 것이 아니다. 고통 속에서 힘겹게 살아가는 예술가들의 초상을 드러냄으로써 문제의식 설정, 비판과 성찰, 건강한 담론 생산으로 하여금 현실의 긍정적인 변화에 의미를 두는 것 이 작품의 의의다.
The life of survival, pressure of withstanding, the system and authority that cannot be evaded, an expectant attitude towards a person interlocked with death.
Inside a life interlocked with death, a person’s work is a matter of living to a person who felt close apperception towards it. Nevertheless, pain towards society or an individual continuously happens to the artist and is twisted. In the situation where the capital is restraining both hands, and sentences of perseverance and endurance are acting as violence, the artist has to accompany the pain all over one’s body. However what this work is trying to say is not expressing defeatism or lethargy. By revealing the portrait of the artists living a difficult life in pain, this work means setting a critical mind, criticism and introspection, producing a healthy discussion to put meaning to the positive changes of reality.
조세진
Cho Sejin
Korea
소금인간Salt-man_36min5sec_2015
이 영상작업은 퍼포먼스와 영상 그리고 설치를 함께한 작업이다. 나는 내 몸무게만큼의 소금이 든 자루를 끌고 인천에 있는 작은 섬의 갯벌을 걸었다. 수의를 연상하게 만드는 삼베옷과 삼베자루를 만들어 입고 자루 속 소금이 하얀 길을 남기는 모습을 드론으로 촬영하였다.
36분의 러닝타임 중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16분까지는 소금이 빠져나와도 갯벌에 녹아 보이지 않는다. 질질 끌린 자루에 구멍이 더 커지고 난 중반 이후에 가야 소금 흔적이 보이기 시작한다. 자루에서 빠져나오는 소금은 나의 시간이자 생명이자 고통이다. 마지막 텅 빈 자루를 끌고 화면 밖으로 나가고 나서야 내가 걸어온 길을 볼 수가 있다. 삶과 죽음은 한 굴레로 연결되어 있고, 비어있는 곳에서 다시 새로운 것이 시작한다. 각자의 무게를 견디며 삶을 살아가는 존재들의 숙명이 가진 아름다움과 힘이 이 작업을 통해서 전달되기를 바란다.
This video is a collaboration of performance, projection and installation. I wandered the mud flat on the tiny island in Incheon dragging a bag of salt as heavy as my weight. Wearing the clothes made of hemp, just like shroud, and carrying the sack made of hemp, a drone recorded the whole trail as the salt leak was leaving the trace of my walk.
Within the running time of 36minuites, the leaking salt melts into the mud making it unable to see the trace in first 16minuites. As the time passes and the worn hole in the sack gets wider, after about half of the running time we can witness the trail of salt. The salt coming out of the sack is the representation of my time, my life, and my agony. Eventually when I am outside of the screen with an empty bag, I can see the road I’d been walking. Life and death is linked in a cycle, the empty parts in between is where a novelty starts. The grace and power inside the destiny of living beings, to be burdened with its own weight in whole life time, is what I want to tell with this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