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선정작> 심사평
국제경쟁 및 한국경쟁 부문
Selection 2025 Jury's Statement
International Competition & Korean Competition
박지영
Park Jiyoung
미술 교사를 거쳐 경주솔거미술관, 경남도립미술관에서 학예연구사로 근무했다. 《실로 어마어마한 일이다》(경남도립미술관, 2025), 《N ARTIST 2023: 더 느리게 춤추라》(경남도립미술관, 2023), 《살어리 살어리랏다: 별유천지》(경남도립미술관, 2020) 등을 기획했다. 올해부터 독립기획자로 활동하며 예술과 대중 사이의 간극을 좁히고자노력하고 있다.
After working as an art teacher, Park Jiyoung took on curator roles at Gyeongju Solgeo Art Museum and Gyeongnam Art Museum (GAM). Her curatorial projects include Something So Incredible (GAM, 2025), N ARTIST 2023: Slow Dance (GAM, 2023), and SARORI SARORIRATTA: Elsewhere, Here (GAM, 2020). Since 2025, she has been working independently, committed to narrowing the gap between art and the public.
이민호
Lee Minho
영화연구자.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에서 영화이론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강의를 하고 있으며 한국문화연구학회, 가좌워크숍, 중앙대 영화미디어학센터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제임슨의 교훈: 계급투쟁으로 다시 읽는 리얼리즘과 영화」, 「선형 원근법 재독해를 통해 바라본 영화의 추상 비판: 주체성의 정치를 넘어서」 등이 있다. 영화(론)의 역사를 마르크스주의 및 비판이론과 함께 다시 읽는 연구를 하고 있다.
Film scholar Lee Minho earned his Ph.D. in Film Theory from the Graduate School of Advanced Imaging Science, Multimedia & Film at Chung-Ang University. He currently teaches at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and is actively involved with the Korean Association of Cultural Studies, Go Left Workshop, and the Center for Cinema and Media Studies at Chung-Ang University. Key publications include “Jameson’s Lesson: Rereading Realism and Cinema through the Class Struggle” and “Critique of Abstraction in Film by Rereading the Linear Perspective : Beyond the Politics of Subjectivity.” His research revisits the history of film and film theory through Marxist and critical theory perspectives.
올해 부산국제비디오아트페스티발은 그간의 궤적을 이어오며 새로운 형식과 담론을 견지하는 국내외 작품들이 다수 출품되었다. 인종, 젠더, 탈식민주의, 재난, 환경 등 동시대적 질문을 담은 다양한 주제들은 영상 예술의 사회적, 정치적 기능을 대변하며 관객을 단순 관찰자가 아닌 윤리적 행위자로 참여시켰다. 이에 혼성장르, 하이브리드 서사, AI를 기반한 첨단 기술의 활용부터 영상 예술의 본질을 탐구하는 여러 시도까지, 출품된 작품들은 정교하고 치밀한 구성으로 응시와 사유를 동시에 이끌어냈다.
심의 과정에서는 긴 토론과 협의를 통해 장한원의 <불명한 풍경>을 최종 수상작으로 선정했다. 탈북자 주현건의 실화를 바탕으로 전개되는 이번 작품은 감각적 미장센의 영상미가 돋보였고, 이미지와 텍스트 사이에서 일어나는 은유적 내러티브와 방대한 아카이브를 교차 편집한 전개 방식들은 관람자의 주체적 감상을 끌어내며 그 이면의 역사적, 정치적 관계를 사유하게 했다.
수상작을 포함한 다수의 출품작들은 동시대 영상 예술 작가들이 얼마만큼 치열하게 고민하고 끊임없는 노력을 이어오는지 드러냈다. 앞으로도 부산국제비디오아트페스티발과 영상 예술 작가들이 꾸준히 번성하고 확장해 나가길 바라며 더 많은 관객과 함께하길 기대한다.
This year’s Busan International Video Art Festival continued its trajectory, with many domestic and international works submitted that sustain new forms and discourses. Addressing contemporary questions such as race, gender, postcolonialism, disaster, and the environment, these diverse themes articulate the social and political function of video art, positioning the viewer not merely as an observer but as an ethical agent. From the use of mixed genres and hybrid narratives to advanced AI-based technologies, as well as various attempts to explore the very nature of video art, the submissions invite both critical gaze and contemplation through precise and intricate compositions.
Through extensive discussion and deliberation during the review process, Hanwen Zhang’s Hostile Landscapes was selected as the prize-winning work. Based on the true story of North Korean defector Ju Hyeongeon, known by his Chinese name Zhu Xianjian, this piece stood out for its rich visuals crafted through a sensory mise-en-scène. The metaphorical narratives unfolding between image and text, along with storytelling approaches that cross-edit a vast archive, engaged viewers in active interpretation and prompted reflection on the underlying historical and political relationships.
The numerous submissions, including the prize-winning work, revealed the intensity with which contemporary video artists engage with their practice and persist in their efforts. I hope that the Busan International Video Art Festival and its artists continue to thrive and grow, reaching even broader audiences in the future.
최근 영화제나 영상페스티벌 및 전시를 통해 보았던 일련의 작업을 돌이켜보면 문득 인간을 촬영한 이미지 자체가 무척이나 희소해지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올해 부산국제비디오아트페스티발에 출품된 작업의 상당수 또한 인간이 사라진 세계 또는 사회역사적 시간성 이전의 비인간적인 원초적 세계를 감각화하고자 하는 시도가 많았습니다. 무엇보다 주목할만한 경향은 인간이 직접 경험할 수 없는 세계의 존재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처의 카메라로 수집된 여러 시각적 데이터나 도시경관을 활용해 사변적 픽션(Speculative Fiction)을 구축하려는 시도들이었습니다. 이러한 작업은 우리의 세계가 그간의 재현 영역에서는 관찰될 수 없었던 미립자나 에너지를 통해 결정되어 있음을 해명한다는 점에서 분명 중요한 기획이지만 그러한 결정인자와 사회역사적인 실재로서 주체의 관계에 대해 침묵하는 인상 또한 있었습니다. 인간의 기억이나 흔적이 각인된 사물 또는 데이터화되고 아카이브화된 문서를 통해 주체의 인식적 행위를 대체하거나 시각적/언어적 재현 대신 감각적 현전을 내세우는 기획은 주체의 추상행위에 반하는 미적 경험을 통해 현실을 직접 경험할 수 있다는 생각을 운반합니다. 그러나 아무리 추상화되지 않은 감각적 경험일지라도 그것이 우리에게 공유되고 전달되는 한에서 사회적 언어로부터 추상화되지 않았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내가 무언가를 감각한다는 것은 이미 그러한 감각을 주조하는 경험의 표상 조건에 구속되어 있다는 말일 것입니다. 따라서 인간적 주체에 준거한 추상적 재현을 넘어서고자 한다면 자신 또한 필시 그 추상에 가담하지 않을 수 없다는 변증법을 잊어서는 곤란합니다. 추상은 주체가 아닌 주체를 규정하는 사회적 현실의 산물이기 때문입니다.
그런 점에서 우리는, 이처럼 인간 대 비인간적 사물(자연), 사회 대 미립자, 재현 대 현전, 중심 대 주변과 같은 대당 관계를 전제하고 한쪽에서 주제를 던지는 작업보다는 그러한 이항관계가 출현할 수밖에 없는 강제성을 고스란히 견디고 있는 작업에 주목했습니다. 수상작인 <불명한 풍경>(2025)은 동시대의 주요한 미적 수사 중 하나가 되고 있는 풍경을 재현의 매개로 활용하는 흥미로운 사례였습니다. 많은 이들에게 풍경이 인식적 재현이 불가능한 세계의 영도(零度)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에 반해 여기서 풍경은 텍스트와 함께 거듭 내러티브를 산출하는 기제가 됩니다. 탈옥한 주현건의 도주 이야기는 풍경을 언어로 번역하는 텍스트와 함께 어느샌가 식민주의적 역사에 등록된 풍경의 이야기로 전환됩니다. 어쩌면 이러한 현전과 재현 사이의 긴장이야말로 오늘날 현실의 모순을 말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방법일지 모릅니다. 이 외에도 다수의 본선 진출작은 경험과 경험의 한계를 지시하는 화법 사이에서 분열적인 태도와 함께 현실을 말하고자 고군분투하고 있었습니다. 나에게 경험되는 현실의 인상과 현실의 존재 사이의 간극이 점차 멀어지는 상황 속에서 경험을 통해 존재를 인식하고자 하는 다방면의 미적 시도에 열렬한 지지와 경의를 보내고 싶습니다.
Looking back at the series of works I have encountered recently through film and moving image festivals, as well as exhibitions, images of human beings themselves have become strikingly scarce. Many of the works submitted to this year’s Busan International Video Art Festival similarly seek to evoke either a world from which humans have vanished or a primordial, non-human realm predating socio-historical temporality. A notable tendency is the use of visual data or urban landscapes gathered by widely dispersed cameras to construct speculative fictions that describe modes of existence beyond direct human experience. Such works are undoubtedly significant in that they reveal how our world is determined by particles and energies once invisible to the traditional field of representation. Yet they often remain silent about how these determinants relate to the subject as a socio-historical reality. Projects that replace the subject’s cognitive acts with objects imprinted by human memory or traces, or with documents that have been digitized and archived, and that foreground sensory presence instead of visual or linguistic representation suggest that reality can be encountered directly through aesthetic experience resisting the subject’s operations of abstraction. However, no matter how non-abstract such sensory experiences may appear, as long as they are shared and communicated, they cannot be considered free from abstraction through social language. To sense is already to be constrained by the representational conditions that render sensing possible. Thus, any attempt to go beyond abstract representation grounded in the human subject must reckon with the dialectic in which one is, inevitably, complicit with that very abstraction. Abstraction is not born of the subject, but of the social reality that defines it.
In this sense, we were drawn less to works that presuppose paired oppositions—human versus non-human (nature), society versus particle, representation versus presence, center versus periphery—and speak from one side, and more to those that endure the very inevitability of such binaries arising. The prize-winning work, Hostile Landscapes (2025), is a compelling example in which landscape—one of the most prominent aesthetic tropes of our time—is used as a medium of representation. Whereas for many, landscape functions as a blank register of a world beyond cognitive representation, here it becomes, together with text, a mechanism for generating narratives. Through texts that translate landscape into language, the flight of Ju Hyeongeon—also known by his Chinese name Zhu Xianjian—after his prison escape eventually turns into a story of a landscape inscribed within colonial history. Perhaps this very tension between presence and representation is one of the few ways to speak about the contradictions of contemporary reality. Many of the other shortlisted works also struggle to articulate reality, adopting a divided stance between presenting lived experience and using modes of expression that signal the limits of that very experience. As the gap widens between one’s impression of reality and reality itself, I wish to extend wholehearted support and respect to the various aesthetic attempts that seek to apprehend existence through exper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