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가장 바깥의 원

Edge of the concentric circles

Knutte Wester

Meira Ahmemulic

Jesper Nordahl

Jonas Dahlberg

Knut Åsdam

Nanna Debois Buhl

Knutte Wester, Här är gränsen(Where the border runs), 2015, Video, 5 min. 39 sec.

크누테 베스테르는 스웨덴을 중심으로 영상, 조각, 설치 분야에서 활동한다. 그의 작업은 매체의 종류와는 무관 하게 주로 다큐멘터리적 요소를 지니며, 때로는 집단적 과정을 거치거나 특정 장소에 대한 것이다. 그의 작업은 사회에 대한 질문과 사회에서 결여된 것들을 다룬다.

 

19년 전, 그는 새로 생긴 난민 캠프로 스튜디오를 옮겨 1년 동안 그곳에 살면서 오픈 스튜디오의 다양한 프로 젝트를 진행했다. 창작 과정에서 다양한 사람과 장소가 각기 다른 방식으로 프로젝트에 연결되었고, 이러한 작 업은 보육원의 아이들과 기념비를 만드는 , 할머니의 어린 시절에 대한 영화 등으로 이어졌다.

My artistic practice includes film, sculpture, installation. Regardless of technique, there is almost always a documentary element, a specific place and a collective process. My work deals with questions about our society and the points where society falls short. It often takes shape in open processes where the artwork is created through collaborations.

 

19 years ago, I moved my studio to a newly opened refugee camp, and ran a project with an open studio and lived there for one year. Many projects followed that in different ways involved other people and places in the creative process. In the sculpture project Monument without a home, a group of children at an orphanage make an unwanted monument, in the film A Bastard Child 800 watercolors form a story about my grandmother's childhood in an undemocratic Sweden, in the videoinstallation Where the border runs a child tells us about a border he is not allowed to cross.

1.jpg
unnamed.jpg

스웨덴 어딘가의 진흙탕에서 미등록 난민 소년이 절뚝거리며 경계를 보여준다. 그것은 마치 국경같이, 그 경 계가 실제로 존재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경계를 넘어가 면 무서운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소년은 4년 동안 경계 지역에서 숨어 살았다고 말한다. 경계에 대해 이해 할 수 없는 것이 하나 있다. 그것은 아무것도 아닌 것 같 다.

An undocumented refugee limps about in a muddy field somewhere in Sweden and shows us a border. The border appears real, almost like a national border, and crossing it might have disastrous consequences. He tells us that he has lived inside the border for four years. There is something incomprehensible about the border, it seems taken out of nothing.

Meira Ahmemulic, Ett språk måste vinna(One Language Must Win), 2016, Single-channel video with sound, 13 min. 16 sec.

메이라 아메물릭은 스웨덴의 예술가이자 작가이다. 그녀는 예테보리 대학의 발란드 아트 아카데미와 스리랑카 콜롬보의 콜롬보 아트 아카데미에서 예술 교육을 받았다. 이주 노동자 부모님을 둔 "이민자 2세"에 속한 작가는 자신의 성장 배경과 계급, 언어, 이민, 노동 및 인종 차별에 대한 스웨덴 사회의 모순에서 주로 영감을 얻 는다.

Meira Ahmemulic is an artist and writer. She is educated at the Valand Academy of Art in Gothenburg and the Colombo Academy of Art. As a child of immigrant workers, she belongs to the “second generation” and often draws inspiration from her upbringing and the contradictions in Swedish society in terms of class, language, immigration, work, and racism.

AnyConv.com__Onel_language_needs_to_win_8.png
AnyConv.com__Onel_language_needs_to_win_6.png

<하나의 언어만이 승리한다>는 사회적 이동이 제한된 스웨덴 교외의 이민자들이 처한 폐소공포증적인 현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권력과 언어의 문제, 스웨덴어가 공동의 가치와 '스웨덴인다운 것'으로부터 사람들을 배제 하기 위해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스웨덴어가 교외의 젊은이들을 배척하며 사용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그들이 스웨덴어를 적대하는 상황으로 설명된다.

One Language Must Win describes the claustrophobic reality of a predominantly immigrant, Swedish suburb, where social mobility has stagnated. The video also deals with issues of power and language, how the Swedish language is used to keep people on the outside, to not involve them in the narratives of shared values and ”Swedishness”. These processes are also illustrated in the stories of how young people in the same suburbs turn against the Swedish language, just as it is used against them.

Jesper Nordahl, The Swedish Camp, 2019, Video (HD, 16:9), color, sound, 14 min. 49 sec.

예스페르 노르달은 스톡홀름에서 거주하며 활동한다. 그는 영상을 포함한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젠더, 권력, 지식 생산을 중심으로 사회·정치적 문제를 탐구한다. 2000년 스톡홀름의 왕립예술학교를 졸업하고 2006년에서 2007년까지 뉴욕의 휘트니 ISP에 참여했다. 그 의 작품은 취리히의 Shedhalle, 스톡홀름의 Index와 현대미술관, 뉴욕의 Artists Space, 그라츠의 Grazer Kunstverein, 스플리트의 Galerije umjetnina와 콜롬 보 아트 비엔날레, 예테보리 국제 비엔날레(GIBCA) 등 전 세계 다양한 기관에서 전시되었다.

Jesper Nordahl lives and works in Stockholm. He uses video and various media to explore social and political issues where gender, power and knowledge production are central. Nordahls work has been shown internationally, including exhibitions at Shedhalle, Zurich; Index, Stockholm; Artists Space, New York; Moderna Museet, Stockholm; Grazer Kunstverein, Graz; Colombo Art Biennale, Colombo; GIBCA, Gothenburg; Galerija Umjetnina, Split. Nordahl graduated from The Royal Institute of Art in Stockholm in 2000 and participated in the Whitney ISP in New York in 2006-07.

3 The Swedish Camp, trumpet.jpg
1 The Swedish Camp, pool.jpg

예스페르 노르달은 1980년대 초반 스리랑카 코트말레의 댐 건설 사업에 참여한 스웨덴 기업 스칸스카의 직원이었던 부모님을 따라 스리랑카 내의 스웨덴인 거주지에서 생활했다. 그의 작업에는 80년대의 가족 홈비디오, TV 클립, 시간이 흘러 황폐한 거주지를 재방문했을 때의 녹화 영상이 뒤섞여있다. 이러한 사적 자료와 공적 자료의 결합은 글로벌 기업을 행위자로 둔 식민주의와 제국주의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다.

Nordahl spent some years in the early 1980s in a Swedish residential area in Sri Lanka, where his parents worked for a company that built a dam. The video mixes family home-movies and television clips with recordings from his return visits to the now quite dilapidated residential area. The combination of private and public material raises questions of colonialism and imperialism, not least when global corporations are the actors.

Jonas Dahlberg, Notes on a Memorial, 2018, Single-channel, HD video, Color, Sound, 27 min. 55 sec.

요나스 달베리는 스톡홀름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작가 이며 스웨덴 왕립예술학교의 교수이자 학제간 스튜디 오 ‘Of Public Interest’의 창립 이사이다. 그는 장소를 분석하는 방법 및 공간의 정치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한 영상 작업 시리즈로 잘 알려져있다. 그는 2004년 상파올로 비엔날레에 스웨덴을 대표하여 참여했으며 50회 베니스 비엔날레, 2004부산비 엔날레, Prospect.2 New Orleans, 프랑크푸르트의 Manifesta 4, 리스본 건축 비엔날레, 테살로니키 비엔날레 등에 참여하였다.

Jonas Dahlberg is an artist based in Stockholm. He is a professor at the Royal Institute of Art in Stockholm and the founding director of the interdisciplinary studio Of Public Interest(OPI). Jonas Dahlberg is known for his winning proposals for the memorials for the victims of the terrorist attacks in Oslo and Utøya on 22 July 2011. He is also known for his ongoing series of video works that have become his fundamental research in how to analyze sites and the politics of space.

 

Jonas Dahlberg has represented Sweden in Sao Paulo Biennal and was part of the 50th Venice Biennal as well as Busan Biennale, Prospect 2 in New Orleans, Manifesta 4 in Frankfurt, Lisbon Architecture Biennal and the Thessaloniki Biennale. He has exhibited in institutions such as Moderna Museet Stockholm, Kunsthalle Wien, Dundee Contemporary Arts, Kunsthall Charlottenborg, Gothenburg Konsthall , Tramway Glasgow, Leeum Museum Seoul, Kunstmuseum Bonn, Kunsthalle Sankt Gallen, Kunstmuseum Stuttgart, Kunsthall Trondheim and FRAC Bourgogne in Dijon.

22 July Memorial Sørnbråten.jpg
20 (1).jpg

2011년 7월 22일 오후, 노르웨이 오슬로 중심의 정부 청사에서 강력한 차량 폭탄이 폭발했다. 이 폭발로 8명이 사망하고 30명 이상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폭탄 테 러를 자행한 테러리스트는 오슬로 중심가에서 홀레시 의 우퇴위아 섬으로 향했다. 당시 섬에서는 560여 명 이 참석한 노르웨이 노동당의 청소년 캠프가 개최 중이었다. 우퇴위아 섬에서의 총기 난사로 69명의 사망자와 66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피해자의 대부분은 20세 미만이었다. 정치적 동기로 비롯된 테러의 목적은 노르웨이에서 차세대 사회민주주의 지도부의 성장을 막는 것이었다.

 

2014년 요나스 달베리는 2011년 7월 22일 오슬로와 우퇴위아에서 발생한 테러 희생자를 위한 국립 추모관을 건립에 대한 노르웨이 공공예술청의 공모에 선정되었다.

 

<Notes on a Memorial>은 3년 동안 추모관 조성계획을 둘러싼 토론과 일련의 과정에 대한 공개적인 답변으로서 만들어졌다. 추모관에 대한 상반되는 여러 입장과 생각, 그리고 건립 취소로 이어지는 과정에서의 토론, 정치에 대한 기록이다.

On the afternoon of July 22, 2011, a powerful car bomb exploded at the government headquarters in central Oslo, Norway. The bomb killed eight people and injured more than 30 others. The terrorist who carried out the bombing then traveled from central Oslo to the island of Utøya, in the municipality of Hole, where the youth association of the Norwegian Labor Party held a summer camp with approximately 560 attendees. There, he killed 69 people and injured 66, most of them under the age of 20. His actions were politically motivated and his goal was to prevent the development of the next generation of social democratic leadership in Norway.

 

In 2014 Jonas Dahlberg was selected to create the national memorials to honor the victims of the terror attack in Oslo and Utøya on July 22, 2011.

 

The film ’Notes on a Memorial’ is made like a public answer to a debate and process that went on for 3 years while working with the memorial sites. It is a document about the ideas behind the memorials but also about the process, debate and politics around the project, resulting in the cancellation of the planned memorials.

Knut Åsdam, Murmansk/Kirkenes(installation version), 2017-18, 3 channel video with sound, 21 min.

크누트 오스담은 노르웨이의 영화감독이자 설치미술 가, 조각가, 사진작가이다. 그는 미국 휘트니 ISP, 네덜란 드 얀 반 에이크 아카데미, 영국 골드스미스 대학 등의 기관에서 공부했다.

 

그의 작업에서 중심이 되는 주제는 현대 사회와 그로 인 한 심리적·물질적 효과 및 일상생활에서 개인의 희생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주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현대 사회 의 규범과 구조 내에서 개인이 스스로의 정체성과 욕망 을 조절하는 방식이 있다. 그의 영화에서 주목할만한 점 은 공간·역사·장소에 대한 관심의 도입과 주체성 및 언 어에 대한 날카로운 감각으로 생성된 다큐멘터리와 허 구가 결합된 서사이다.

 

그의 작품은 로테르담 국제 영화제, 뉴욕현대미술관, 테 이트 모던, 테이트 브리튼을 비롯한 전 세계 다양한 기 관에서 전시되었다. 작가는 현재 동시대 유럽에 대한 두 개의 장편 영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영화·공간·젠 더의 정치에 관한 글을 발간한 바 있다.

Knut Åsdam is a filmmaker, artist, writer, and professor of moving images. Åsdam studied at Whitney Museum Independent Study Program (NYC 94-95), Jan van Eyck Akademie (Maastricht, 92-94), Goldsmiths College (London, 89-92), and more.

 

In cinema, video, and installation, the main interest of Åsdam’s work is contemporary society and its psychological and material effects and the toll of everyday life, e.g., how individuals adjust their identity and desires in reaction to the rules and organizations of contemporary society.

 

The idiosyncrasy of Åsdam’s films is created by bringing attention to space, history, and place into film, combining this with an acute sense of subjectivity and language and his mix of documentary and fictional narrative elements driving the plot.

 

Åsdam´s work has been shown widely at i.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Rotterdam; MOMA; Tate Modern; Bergen Kunsthall; Tate Britain; Boijmans van Beuningen Museum, Rotterdam; Venice Biennial; Kunsthalle Bern; Istanbul Biennial; FRAC Bourgogne; MACRO, Rome; Museum of Contemporary Art, Oslo; Manifesta7; Moderna Museet, Stockholm; NYC: and Musee d’Art Moderne de la Ville de Paris, and several cinemas internationally. Upcoming exhibitions and projects include two feature film projects on contemporary Europe. Knut Åsdam’s articles on cinema and the politics of space and gender have been published widely.

47.57.jpg
AnyConv.com__A023_C020_0101WT_2.png

<Murmansk/Kirkenes>는 노르웨이-러시아 국경과 솅겐 지역 최북단 장벽을 둘러싼 긴장 지역에 주목한다. 동시대적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영화는 두 개의 평행 서사로 구성된다. 한쪽 편에는 노르웨이 시르케네스 외곽에 있는 노르웨이 여군 두 명이, 다른 한 편에는 2차 세계대전 당시 최전선이자, 무르만스크와 시르케네스 사이 황량한 지역에 있는 기이한 기차역인 티토프카의 카페에 있는 두 명의 러시아 여성 노동자에 대한 이야기가 있다.

 

<Murmansk/Kirkenes>는 두 편의 영화를 하나로 합친 것이다. 노르웨이 부분은 물리적인 움직임, 혹은 대화 없이 국경과 지형을 관찰하는 것에 집중한다. 영화는 '지형', '경계'의 의미와 함께 '편집증적 시선'에 대한 질 문을 던진다. 러시아 부분은 배우들이 중심이 되는 영화로, 인물들의 노동, 대화, 그리고 주인공들 사이의 떠도는 관계에 집중한다. 두 영화 모두에서 사소한, 정치적인, 개인적인, 일반적인, 의미 있는, 그리고 비어 있는 것 사이에서 옮겨 다니며 계속 변화하는 지형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Murmansk/Kirkenes sets its spotlight on the tense area surrounding the Norwegian-Russian border and the Schengen area’s northernmost barrier. This is done from a contemporary perspective, and the film has two parallel narratives following on one side two Norwegian female soldiers outside Kirkenes, and on the other two Russian female café workers in Titovka – a place mostly known as a frontline during the 2nd World War – but that today is a bizarre stopping-place, with café and bar, in the deserted area between Murmansk and Kirkenes.

 

Murmansk/Kirkenes is two films put together as one. The Norwegian part rest solely on physical movement, dialogue-less observation of the border and the terrain. It raises questions about what is ‘a terrain’, what is ‘a border,’ and when is a gaze a ‘paranoid gaze.’ The Russian part is an actor-driven film, mostly focusing on the work tasks, the dialogue, and the floa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characters. In the film, both work and terrain are shown as shifting roles between the trivial, political, personal, general, meaningful, and —empty.

Nanna Debois Buhl, Looking for Donkeys, 2009, Dual screen video installation with sound, 16mm film transferred to HD, 15 min.

난나 데보아 불은 코펜하겐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시각 예술가로, 시간을 초월하여 미시적 관점과 거시적 관점을 연결하는 작업을 한다. 그녀는 물질에 관한 관심과 주류 역사에 반하는 역사에 대해 이야기하기 위해 식물, 입자, 구름, 컴퓨터 메모리에 걸친 연구를 통해 과학적· 미학적·사변적 관점을 연결한다.

 

작가의 작업은 사진, 직조, 설치, 영상, 책, 장소특정적 공공예술 등으로 구체화되며, 이러한 매체에 대한 개념 적, 실험적 접근 방식을 취하고 과거의 기술과 최신의 기술을 결합해 작품의 주제와 표현 방식을 연결한다. 따라서 그녀의 작업은 물질과 의미를 통한 사변적 시간 여행과 같다.

 

작가는 현재 덴마크 왕립예술학교와 코펜하겐 대학교 의 Mads Øvlisen PhD 연구원이다. 그녀의 작업은 미국 뉴욕과 플로리다, 스웨덴 룬드와 스톡홀름, 덴마크 코펜 하겐 등의 다양한 기관에서 전시되었다.

Nanna Debois Buhl is a Copenhagen-based visual artist whose practice draws connections across time periods and between micro and macro perspectives. Through studies spanning plants and particles, clouds and computer memory she connects scientific, aesthetic, and speculative perspectives in order to nurture attentiveness to materials and to tell counter-histories. Her work materializes as photographs, weavings, installations, films, artist’s books, and site-specific works in public space. She has a conceptual and experimental approach to her chosen media, and by combining historical and new technologies she connects what is addressed in her works to how they are made. Her practice can thus be considered to be speculative time travel through matter and meaning.

 

Buhl is a Mads Øvlisen PhD fellow in artistic practice at The Royal Danish Academy of Fine Arts and Copenhagen University, Denmark (2019- 22). She participated in The Whitney Museum’s Independent Study Program, New York (2008- 09) and received her MFA from The Royal Danish Academy of Fine Arts (2006). Her work has been exhibited at institutions such as the Pérez Art Museum, FL; SculptureCenter, NY; Art in General, NY; The Studio Museum, Harlem, NY; El Museo del Barrio, NY; Bucharest Biennial 7, Romania; Lunds Konsthall, Sweden; Louisiana Museum of Modern Art; ARKEN Museum of Modern Art; Kunsthal Charlottenborg; Kunsthallen Brandts; Museum for Contemporary Art, Roskilde; and Herning Museum of Contemporary Art, Denmark.

donkey_1.jpg
donkey_8.jpg

미국령 버진 아일랜드의 세인트 존에는 400여 마리의 야생 당나귀가 살고 있다. 1718년 덴마크는 세인트 존 섬을 매입했으며, 1917년 미국에 팔리기 전까지 이웃한 세인트 토마스와 세인트 크로이까지 소유했다. 당나귀들은 사탕수수 농장에서 짐을 나르는 용도로 18세기 덴마크의 식민지 개척자들이 세인트 존에 데려온 것이다. 오늘날 섬의 대부분은 자연 보호 구역이다. 본래의 기능 을 상실한 당나귀들은 식민지 시대의 유령처럼 섬을 배회한다. 는 세인트 존에서 당나귀를 찾는 작가의 리서치에 따른 일기 형식의 영상 에세이다.

There are approximately 400 feral donkeys on the island of St. John. Denmark bought St. John in 1718 and held the island and the neighboring islands St. Thomas and St. Croix until 1917, when they were sold to the United States. The donkeys were brought to the island by Danish colonizers in the 18th century to be used as beasts of burden at the sugar plantations. Today, most of the island is a nature preserve. Having lost their original function, the donkeys roam the island like ghosts of colonial times. Looking for Donkeys is a diaristic film essay mapping Buhl’s search for donkeys on St. John.

가장 바깥의 원

북유럽의 도시는 이민자를 수용하며 꾸준히 몸집을 불려왔다. 타 문화, 타 인종에 대한 개방성과 포용력을 자랑하며 엘리트 계층의 이민자부터 난민에 이르기까지 다채로운 배경의 사람들을 수용해온 이들 도시는 골칫거리였던 인구 감소를 효율적으로 극복했다. 스웨덴을 예로 들자면, 5명 중 1명이 외국에서 태어났거나 부모 중 한 명이 외국인일 정도다. 그러나 시간이 흘러도 도시의 새로운 구성원은 외곽에만 자리하고, 도시는 동심원의 구조를 갖추게 되었다. 한 가지 유의할 점은 동심원의 옆면이다. 위에서 내려다보면 하나의 납작한 원일지 몰라도 그 단면은 피라미드와 같다. 가장 중심의 원은 최고층에, 바깥으로 갈수록 바닥에 자리하는 것이다. 결국 사람들은 하나의 도시 안에서도 각기 다른 원 위에서 살아간다. 이러한 분리는 거주지에 국한되지 않고 학교, 직장, 주변의 이웃들을 통해 심화된다. 물리적으로 같은 공간에 있다고 하여 같은 세계에서 사는 것은 아니다.

   동심원의 중심, 최고층에는 여러 원에 겹겹이 둘러싸여 평온하고 안전한 삶을 보장받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바깥의 원에서 중심으로 진입하기란 쉽지 않고, 원의 가장자리에 선 사람들에게는 중심의 자전 속도조차 버겁다. 자신이 서 있는 원이 몇 층인지 자각하지 못했다면 우리는 이미 원의 중심에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가장 바깥의 원》에서는 북유럽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가 6인의 작업을 통해 동심원 구조를 이루는 도시와 세계의 단면을 드러낸다. 각각의 작업은 서로 다른 원과 사람들을 중심에서 혹은 바깥에서 관찰한다. 난민, 경계, 개발 원조, 식민지를 관찰하는 작업을 통해 전시는 원의 가장자리를 맴도는 사람들의 이야기에 주목한다.

   크누테 베스테르의 <Where the border runs(국경이 이어지는 곳)>에서는 미등록 난민 소년이 감지할 수 없는 경계를 보여준다. 저 호수 너머에, 저 집들을 따라서 있다는 국경은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고, 유창한 스웨덴어를 구사하는 소년은 자신이 접근 가능한 공간과 불가능한 공간을 너무나 명확히 구분하고 있다. 누군가에겐 무의미한 정지 표지 앞에서 소년은 발걸음을 돌려 흙바닥을 가리킨다.

   메이라 아메물릭은 이민자 2세로 스웨덴에서 살아온 자신의 경험을 기반으로 한 작업 <Ett språk måste vinna(하나의 언어만이 승리한다)>에서 언어가 배제의 도구로 기능하는 스웨덴 사회의 이면을 드러낸다. 소통의 수단이어야 할 언어는 화자의 억양, 유창도, 단어 선택 등의 내재적인 요소를 통해 ‘스웨덴 사람들’과 아닌 사람들 사이의 경계를 긋고 분리를 심화한다. 동시에 사회는 이곳과 그곳 둘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강요한다. 따라서 스웨덴어와 모국어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이들의 삶에선 하나의 언어는 패배하고 나머지 하나의 언어만이 승리한다.

   예스페르 노르달은 <The Swedish Camp>에서 스리랑카에서의 유년 시절을 호출해 현재의 관점에서 스웨덴의 개발 원조에 대해 비판적 회고를 시도한다. 성역과도 같은 스웨덴 캠프에서의 즐거운 순간으로 가득한 홈비디오는 현재의 황폐해진 코트말레의 풍경과 대비되고, 댐 건설에 대한 TV 뉴스 속 논평은 지금의 코트말레를 예언하는 듯하다. 개발 원조를 가장한 댐 건설은 식민주의의 현재성에 대한 감각을 일깨우지만, 동시에 35년이 넘는 시간이 지난 시점에서 황폐화된 지역과 스웨덴의 거대 건설회사를 연결하는 일은 아득하다.

   요나스 달베리의 <Notes on a Memorial(추모관에 대한 기록)>은 2011년 7월 22일 노르웨이 오슬로와 우퇴위아 테러 희생자를 위한 국립 추모관 건립 공모에서 우승한 그의 프로젝트에 관한 기록이다. 추모관 부지를 절단하겠다는 작가의 제안서는 큰 반향을 일으켰다. 누군가는 그의 의도에 깊이 공감했지만, 어떤 이는 프로젝트가 너무 폭력적이며 그것을 볼 때마다 끔찍한 테러를 상기하고 싶지 않다고 말한다. 사람들의 이러한 상반된 반응은 공동의 상실에 대한 사회의 분열된 시각과 그 이면의 정치적 이해관계를 드러낸다.

   크누트 오스담의 영화 <Murmansk/Kirkenes(무르만스크/시르케네스)>는 솅겐 지역 최북단의 노르웨이-러시아 국경 지역을 조명한다. 영화 속 두 명의 군인이 등장하는 노르웨이의 소도시 시르케네스는 노르웨이, 핀란드, 러시아의 국경이 맞닿은 곳이다. 시르케네스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에 점령되어 무르만스크 전선의 전초기지 역할을 했고, 1944년 이후로는 소련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경계하는 군인들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비현실적으로 아름다운 툰드라의 풍경에서는 전쟁의 기억을 찾아볼 수 없다.   

   난나 데보아 불의 <Looking for Donkeys(당나귀를 찾아서)>는 미국령 버진아일랜드의 세인트 존으로 우리를 안내한다. 섬을 배회하는 당나귀와 어우러진 풍경은 평화롭기 그지없지만, 당나귀들은 여전히 18세기 덴마크 식민 지배의 희미한 그림자이다. 인간의 존재가 제거된 풍경 속 당나귀는 제 기능을 다 하고 버려진 듯하지만, 동시에 덴마크와 미국령을 거치며 만들어진 섬의 인위적인 규율을 파괴하는 무법자 같은 존재이다.


 
강주영 / 제15회 부산국제비디오아트페스티발 협력 큐레이터

Edge of the concentric circles

Nordic cities have steadily grown in size, accommodating immigrants. Boasting of openness and tolerance to other cultures and races, these cities have effectively overcome population decline, accommodating people from diverse backgrounds, from elite migrant workers to refugees. In Sweden, in particular, one in five children was born abroad, or one of their parents was a foreigner. However, as time passed, new members of the city were located on the outskirts, and the city took on the structure of concentric circles. One thing to note is the sides of the concentric circles. When we look down from above, it may look like a flat circle, but its cross-section is like a pyramid. The most central circle is located on the top floor, and as it goes outward, it is located on the bottom. After all, people live in different circles, even within a city. This segregation is not limited to the residence, but deepens through schools, workplaces, and surrounding neighborhoods. Just because they are physically in the same space doesn't mean they live in the same world.

At the center of the concentric circles, which is the top floor, there are people who are surrounded by other circles and guaranteed a peaceful and safe life. However, it is not easy to enter the center from the outer ring, and even the rotation speed of the center is harsh for people standing at the edge of the circle. If we are not aware of the height of the circle we are standing on, we may already be in the center. 《Edge of the concentric circles》 reveals the cross-sections of the city and the world through the work of six artists based in Scandinavia. Each work observes different circles and people. Through observing refugees, borders, development aid, and colonies, the exhibition focuses on the stories of people who circle the Edge of the circle.

In <Where the border runs> by Knutte Wester, an undocumented refugee boy shows a border we cannot detect. Beyond that lake, the borders along those houses are invisible to our eyes, and the boy who speaks fluent Swedish clearly distinguishes between accessible and inaccessible spaces. The stop sign is meaningless to somebody. However, in front of the sign, the boy turns back and points to the dirt floor.

 

In <One Language Must Win> Meira Ahmemulic reveals the other side of the Swedish society where language functions as a tool of exclusion. The work is based on her experience of living in Sweden as a second-generation immigrant. Language should be a means of communication. However, it draws a boundary between the 'Swedes' and non-Swedes and deepens the segregation through intrinsic factors such as the speaker's intonation, fluency, and choice of world. At the same time, society forces them to choose between here and there. So, for the people who have to choose between Swedish and their mother tongue, one language is defeated, and only the other language wins.

 

In <The Swedish Camp>, Jesper Nordahl attempts a critical approach to his childhood in Sri Lanka from the present perspective. A home video full of pleasant moments from the sanctuary-like Swedish camp contrasts with the now devastated landscape of Kotmale. In addition, critiques in TV news about the dam construction seem to predict what is now Kotmale. The construction of the dam in the guise of development aid awakens a sense of the nowness of colonialism. However, at the same time, it is far from being able to connect the devastated area over 35 years later with the Swedish construction giant.

 

Jonas Dalberg's <Notes on a Memorial> is a record of his winning project to build a Norwegian national memorial for the victims of the terrorist attacks in Oslo and Utøya on July 22, 2011. The video work is the artist's public response to the controversy surrounding it. Someone who has seen the project selected by Public Art Norway says his plans are too violent, and they don't want to recall the act of terror every day. The opposing reactions of people reveal the society's divided view of the common loss and the political interests behind it.

 

In his film <Murmansk/Kirkenes>, Knut Åsdam illuminates the Norwegian-Russian border region in the northernmost part of the Schengen region. Kirkenes, a small town in Norway where two soldiers appear in the movie, is where the borders of Norway, Finland, and Russia meet. Nazi Germany occupied Kirkenes during World War II, and the city served as an outpost for the Murmansk Front. And since 1944, it has been occupied by the Soviet army. Despite the presence of vigilant soldiers, there are no memories of war in the unrealistically beautiful tundra landscape.

Nanna Debois Buhl takes us to St. John, US Virgin Islands, in <Looking for Donkeys>. The scenery with the donkeys roaming the island is quite peaceful, but the donkeys are still a faint shadow of 18th-century Danish colonial. The donkey in the landscape seems abandoned and useless. Still, they are kind of desperadoes that destroy the island's artificial rules created through the domination of Denmark and the United States.

Joo-Young Kang / Co-curator of the 15th BIVAF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