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정작
Prize-winner
김민정 Minjung Kim
반재하 Jaeha Ban
유하나 Hana Yoo
김민정은 홍익대학교에서 시각디자인을 전공하고 캘리포니아 예술대학에서 영화 영상제작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토론토 국제영화제, 에든버러 국제영화제, 서울국제실험영화제 등 국내외 다양한 영화제와 인사미술공간, 화이트블럭 아트센터, 국립현대미술관 고양레지던시 등 전시공간에서 작품들을 선보여왔다. 최근에는 인천아트플랫폼 입주작가로 활동하며 신작을 진행중이다.
Minjung Kim studied Visual Communication Design at Hongik University, Seoul, and earned an MFA in Film and Video from the 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 Her work has screened at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and media art venues including Toronto International Film festival, Edinburgh International Film Festival, Ex-is, Onion City, Black Maria and Ann Arbor film Festival, Arsenal Berlin and Insa Art Space in Seoul. She recently resides at Incheon Art Platform artist residency in South Korea.
김민정, <"레드필터가 철회됩니다.">, HD 비디오, 11분 30초, 2020
Minjung Kim, <"The red filter is withdrawn.">, HD video, 11min 30sec, 2020
해안 동굴 진지들과 여러 오름들에 위치한 벙커 등 수많은 식민지의 흔적과 함께 항쟁과 학살의 기억을 가진 풍경은 제주섬의 곳곳에 숨겨져 있다. 이 작업은 동굴 속에서 바깥 풍경을 캔버스와 겹쳐 바라본 르네 마그리트의 <La condition humaine, 1935>을 원전으로 삼고 홀리스 프램튼의 <A Lecture>퍼포먼스의 스크립트를 일부 인용하여 작업 전체의 목소리가 되게 한다. 스크린이자 카메라 렌즈로서 작용하는 동굴과 벙커의 풍경을 찾아다니며 매체를 통하여 역사적 상흔을 가진 풍경이 있는 그대로 포착될 수 있는지, 또는 그대로의 색깔을 담을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질문하고, 근본적으로 매체를 통해서 보거나 보여주는 것 자체에 대한 의미에 대해 묻는다.
Numerous colonial places, including coastal cave and military bunkers on a lot of Oreums, as well as memories of uprising and massacres are everywhere on Jeju Island. This work is based on René Magritte's "La condition humaine, 1935", which is a view of the outside of the cave superimposed on a canvas. The camera captures landscapes of caves and bunkers in Jeju Island as having quote from Hollis Frampton’s <A Lecture> performance script, and asks media can capture the image of historic vestige on the landscape without any distortion or elimination.
반재하 작가는 유통 그 자체보다 유통 이전과 이후 벌어지는 양상에 관심을 두고 있다. 개인적 체험, 사소한 사건, 일상적 사물 등에서 국경의 존재방식, 냉전의 현재성, 산업의 재편 등 개인을 초과하는 시스템을 탐구한다.
Jaeha Ban is interested not just in the distribution itself, but in the aspect that takes place before and after the distribution. Departing from individual experience, insignificant matters or everyday things, she explores the systems that are placed over individuals such as existing method of national boundaries, contemporariness of the Cold War and Reorganization of the industry.
반재하, <허풍선이, 촌뜨기, 익살꾼>, 21분 35초, 2018
Jaeha Ban, <Alazon, Agroikos, Bomolochos>, 21min 35sec, 2018
이 영상은 세관 사무소와 국정원, 그리고 세관이 북한 이미지가 인쇄된 제품을 가지고 벌이는 퍼포먼스의 기록이다. 작가는 북한 프로파간다 이미지가 인쇄된 굿즈를 한국으로 수입하려 한다. 어느 날 세관 사무소로부터 ‘The Great Leader Kim Il-sung’이 무슨 물건이냐는 전화가 걸려 오고 곧이어 국정원과 세관의 연락을 차례로 받는다. 그들은 한결같이 북한 관련 물건이 한국에 들어오면 얼마나 위험한지, 그 물건들을 수입하려고 한 행동이 얼마나 경솔한 것인지를 이야기한다. 합의 하에 일부 ‘위험한’ 물건을 제외하고 인수하기로 하지만, 통관된 물건들이 통관 보류되고 통관 보류되어야 할 물건들이 도착한다. 작가는 55일간 있었던 모든 과정이 하나의 거대한 퍼포먼스임을 깨닫는다.
This video is the recorded performance of customs office, NIS(National Intelligence Service)and Customs with goods that the image of North Korea is printed. The artist is supposed to import goods printed with an image of North Korea propaganda. One day, she got a phone call from the customs office to ask what the product – ‘The Great Leader Kim Il-sung’ is, which is followed by contacts from NIS and Customs. They say same things like how dangerous it is to bring North Korea-related goods into South Korea and how imprudent it is to try to import them. Under the agreement with them, she decides to get them except some of ‘dangerous’ goods, but she gets to find out that goods that have been cleared are put on hold and those that should be put hold are delivered to her. Then she realizes the whole process she experiences for 55 days is a huge performance.
유하나, <시체의 인류학>, 단채널 영상, HD, 스테레오, 10분 17초, 2019
Hana Yoo, <The anthropology of dead body>, Single channel video, HD, stereo, 10min 17sec, 2019
유하나는 인위성 및 그 정치적 특성, 정신 상태의 변화, 심리적 분열성, 또는 통합성에 대한 관심으로 작업을 이어나가고 있다. 실험영상을 기반으로 자연의 표상적 이미지와 신체의 상호 관계를 탐구하며 이를 스토리텔링으로 풀어낸다. 작업은 Fotomuseum(빈터투어, 스위스), 유러피안미디어아트 페스티발(EMAF) 및 Cair o V ideo Festival(이집트, 카이로)을 포함 여러 곳에서 상영 및 전시되었다.
hana yoo investigates in her experimental video and film, the nature of artificiality and its political entanglement, along with the alter ed mental states derived from technical apparatus. She engages and experiments with representational images of Nature and the inter r elation of bodies, mediated through storytelling. Her works have shown at museums and festivals including the Fotomuseum(Winter thur, Switzer land), European Media Ar t Festival(EMAF), and Cairo Video Festival(Cairo, Egypt) among other s. She lives and wor ks in Berlin.
시체의 인류학은 인간과 비인간, 물질과 비물질, 소중한 것과 버려지는 것의 중간에 위치하는 시체라는 상징화된 개념을 사용하여 분류되어진 경계와 양극화된 카테고리 속의 수직화, 그 차별을 들여다본다. 극도의 단순함과 순진함을 차용한 내레이션은 무자비한 카테고리화를 자행하며 역설적으로 그 사이의 관계들을 들춰낼 필요성을 부각시킨다. 우리가 진짜로 혐오하고 두려워하는 것은 그 대상이 아니라, 그 대상이 우리 자신임을, 그것들이 다시 우리에게 돌아올 것임을 알고 있기 때문인 것은 아닌가?
The anthropology of dead body investigates the dead body across different symbolic or der which is peculiar matter located between human and nonhuman, material and immaterial, the precious and the abandoned among living humans. Staging pseudo-educational documentary, the film raises questions about the nature of categorization and focuses on the discrimination engender ed from the hierarchy of the binaries. The narration adopting extreme simplicity and naivité creates ruthless categorization and paradoxically emphasizes contingency. Is it not because we really detest and fear a certain matter , but because we know that the matter and the per son we despise ar e, in fact, parts of our selves and that they will always come back to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