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제16회 부산국제비디오아트페스티발

공모 선정작 온라인 스크리닝

 

2022. 11. 22. ~ 11. 30.

제16회 부산국제비디오아트페스티발은 2022년 11월 22일부터 30일까지 공모 선정작 중 5편의 온라인 스크리닝을 진행합니다. 9일간 BIVAF 웹사이트에서 수상작인 리아 리잘디의 <텔루리안 드라마>를 비롯해 경쟁작 4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의 선정작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16th Busan International Video Art Festival

<Selection 2022> Online Screening

22~30 November 2022

Busan International Video Art Festival presents five of the selected works on the BIVAF website. Prize-winner Tellurian Drama by Riar Rizaldi and four competitive works are screened online from 22-30 November.

​수상작

Prize-winner

리아 리잘디​

<텔루리안 드라마>

2020, 단채널 비디오,스테레오 사운드, 26분 23초.

1923년 5월 5일, 네덜란드 동인도 정부는 자와바랏의 새로운 라디오 전신국인 ‘라디오 말라바’의 개설을 기념했다. 2020년 3월, 인도네시아 현지 정부는 전신국의 사적 및 관광지화를 계획한다. <텔루리안 드라마>는 역사에서 중요한 산의 역할과 지구공학적 도구로서의 식민지 폐허, 그리고 원주민 조상의 보이지 않는 힘 사이에 어떤 일이 일어났을지 상상한다. 저명한 사이비 인류학자 무나르완 박사의 잊혀진 글을 바탕으로 영화는 탈식민화, 지구 중심적 기술, 그리고 통신의 역사성에 관한 개념을 문제화한다.

Riar Rizaldi

Tellurian Drama

2020, Single-channel video, stereo, 26min. 23sec.

May 5th, 1923. The Dutch East Indies government celebrated the opening of a new radio station in West Java. It was called Radio Malabar. In March 2020, the local Indonesian government plans to reactivate the station as a historical site and tourist attraction. Tellurian Drama imagines what would have happened in between: the vital role of mountain in history; colonial ruins as an apparatus for geoengineering technology; and the invisible power of indigenous ancestral. Narrated based on the forgotten text written by a prominent pseudo-anthropologist Drs. Munarwan, Tellurian Drama problematizes the notion of decolonisation, geocentric technology, and historicity of communication.
 

​경쟁작

Competition

리아 리잘디​

<베크렐>

2021, 단채널 비디오, 스테레오 사운드, 19분 8초.

인도네시아의 대안적인 미래로, 원자력 기술이 무한한 에너지 자원인 인공태양 생산하기에 달했을 때, 게으른 철학자 사자드 알리는 잠잘 곳을 찾아 방황한다. 다소 에세이적인 관점으로 접근해 말해보자면, 사자드 알리는 미래의 원자력 기술의 역동성을 보여주는데, 그는 인도네시아의 토륨과 같은 광물 연구를 통해 물질성의 정치성뿐만 아니라, 남반구와 생태주의, 에너지 소비 문제, 근대국가, 생산성 등의 긴장 관계 등 원자력 문제의 복잡성을 보여준다.

Riar Rizaldi

Becquerel

2021, Single-channel video, stereo, 19min. 08sec.

In an alternative future of Indonesia, when nuclear technology reaches the point of generating an artificial sun for endless energy resources, a lazy philosopher Sajad Ali wandering around seeks a place to sleep. Told in a semi-essayistic approach, Sajad Ali reflects the dynamics of nuclear technology in the future, the politics of materiality through the search for minerals such as thorium in Indonesia, as well as the complexity of nuclear issue in the Global South and its tension with ecology, energy consumption, nation-state, and productivity.

에드윈 로 윤 팅

<종말과 조상의 궤적>

Edwin Lo Yun Ting

End Time and The Trajectories of Ancestors

2022, 단채널 비디오, 스테레오 사운드, 34분 26초.

<종말과 조상의 궤적>은 몬태나와 아메리카 원주민 역사의 역사적 파편에 대한 비디오(머시나마) 에세이다. 미국의 땅 깊숙이로 들어가는 비디오 게임 Far Car 5(2018) 작업은 핵 위협과 종말에 대한 종교적 생존주의와 아메리카 원주민의 역사와 운동의 역사적 증언과 기록 그리고 몬태나의 아카이브와 디지털 풍경 사이의 병치를 명명백백히 드러낸다. 이러한 교차는 비디오 게임에서 식민지화, 토지, 인종, 폭력 그리고 문화와 역사의 전유에 관해 질문하고 사유하는 우회로를 생각할 수 있게 한다.

2022, Single-channel video, stereo, 34min. 26sec.​

End Time and The Trajectories of Ancestors is a video (machinima) essay on the historical fragments of Montana and Native American history. Going deep into the American soil conveyed in the video game Far Car 5 (2018), the work manifests the juxtaposition between religious survivalism on the nuclear threat and End Time, the digital landscape and archive of Montana, and the historical records and testimonies of Native American’s history and movement. This intersection can be conceived as a detour in thinking and questioning the universal issues on colonization, land, race, violence and the appropriation of culture and history in the video game.

자크라왈 닐탐롱

<헛간 방화>

2022, 2채널 비디오, 스테레오, 14분.

 

<헛간 방화>는 태국 북부 산불을 배경으로 윌리엄 포크너의 단편 소설을 각색한 세미 다큐멘터리이다. 이 프로젝트는 2021년 2월부터 5월까지의 실제 사건들을 기록하고, 조사하고, 중재해보기 위한 도구로써 비디오, 사운드 레코딩, 사진을 사용한 현장연구를 포함하고 있고, 웹-객체 인터랙티브 비디오와 2채널 비디오 스크린을 비롯하여 여러 플랫폼에서 상영되었다. 이 작업은 북부 산불의 문제점이 지닌 복잡성, 정치학과 경제학 관점에서의 이해 대립, 심지어 뉴스 헤드라인 경쟁을 밝힌다. 작품은 모더니스트의 거대 서사에 도전하며, 픽션과 실제 사건들을 섞어 대안적인 가설을 만드는 실험적인 영화로 만들어졌다. 

Jakrawal Nilthamrong

Barn Burner

2022, 2-channel video, stereo, 14min.

A semi-documentary is an adaptation of William Faulkner’s short story presented under backdrop of a forest fire in the North of Thailand. This project includes field research by using video, sound recording, and photo as tools to record, investigate and mediate the real events from February to May 2021 and presents on various platforms including web-object interactive video and 2-channel video screening. It reveals the complexity of the northern forest fire problem, conflict of interest both in terms of politics and the economy, or even competition for news headlines. The work of art is built on the ground of experimental film that challenges Modernist's Grand Narrative / to create an alternative hypothesis that blends fiction and real events.

​팅통창

<빈랑나무, 새 둥지 고사리, 아프리카 달팽이>

Ting Tong Chang

Betelnut Tree, Bird's Nest Fern and Giant African Snails

2020, 2채널 비디오, 스테레오 사운드, 14분 41초.

<빈랑나무, 새둥지 고사리, 아프리카 달팽이>는 작가가 산악 지역에서 2주 동안 머물며 아미스 부족 사냥꾼과 협력하고 현지에서 조달한 재료를 사용하여 그곳에 거주지를 만드는 과정의 기록이다. 그들은 함정을 설치하고 독창적인 생존 장치를 만든다. 세미 다큐멘터리 2채널 비디오와 거주지 및 제작된 장치로 구성된 설치를 통해 작가는 대만의 자연 경관에서 발견되는 빈랑나무, 새둥지 고사리, 아프리카 달팽이의 세 가지 토착 종 사이의 연결을 제시합니다. 그는 ‘예술 기술’을 ‘생존 기술’로 탈바꿈하는 실험을 통하여 인간 역사의 궤적을 재평가하기 위해 객체 지향적 관점을 사용한다.
 

2020, 2-channel video, stereo, 14min. 41sec.

Betelnut Tree, Bird's-Nest Fern and African Snails documents the artist’s two-week stay in a mountainous area, where he collaborated with an Amis tribal hunter and created a dwelling place there using locally sourced materials. They also placed traps and made inventive survival apparatuses. Through an installation consisting of a semi-documentary two-channel video and the dwelling place and apparatuses created, Chang presents connections between the following three indigenous species found in Taiwan’s natural landscape: betelnut tree, bird’s-nest fern, and African snails. He seeks to use an object-oriented perspective to reevaluate the trajectory of human history, with experiments conducted on transforming “art skills” into “survival skills”.
 

bottom of page